2025.1.13 ~ 19
2025.01.15 (수)
자주쓰는 링크
로그인
회원가입
표지이야기
특집&이슈
정치
경제
사회
문화&과학
세계
스포츠
오피니언
연재
검색
연재
주간경향
>
거리예술의 세계
(4)도시에 ‘한국의 멋’ 입힌 거리예술가들
1930년대 후반 ‘킬로이 다녀감(Kilroy was here)’으로 상징되기 시작한 거리의 낙서는 그라피티로, 벽화로, 또 거리를 무대로 하는 설치미술로 그 위상이 변화됐다. 비주류이자 하위문화로 취급받던 그라피티는 오늘날 거리가 아닌 미술관과 갤러리에서도 종종 마주친다. 반항적이고 직접적인 자기표현이 가능한, 패스트푸드 같았던 그라피티···
[ 1460호
ㅣ
2022.01.10 ]
(3)저항과 예술의 교차로 한국의 거리예술
한국의 거리예술은 해외에서 상업적 성향이 강해진 그라피티와 1990년대 중후반 힙합 문화와 결합하며 시작됐다. 동시에 외환위기라는 암울한 시대적 상황에 직면하면서 미래의 불확실성에 부딪힌 젊은이들이 경제위기에 책임이 있는 기성세대에게 불만을 표출하는 도구 역할도 탄생의 배경을 같이하고 있다. 그라피티 본연의 저항적인 메시지는 익명성이 주는···
[ 1457호
ㅣ
2021.12.20 ]
(2)스프레이 캔을 든 렘브란트의 질문
거리예술 초기인 1960년대에는 젊고 반항적인 그라피티가 대부분 불법으로 인식돼 크게 환영받지 못했다. 그래서 아티스트들은 남의 눈길을 피해 야간이나 게릴라적으로 그라피티를 남겨야 했다. 스트리트 아트가 게릴라 아트, 패스트 아트라는 별칭을 얻은 배경이다. 이안 스트레인지의 ‘타깃’ / ianstrange.com 도시에 그라피···
[ 1454호
ㅣ
2021.11.29 ]
(1)도시, 예술가의 캔버스가 되다
1980년대에 이르러 뉴욕의 지하철과 모퉁이를 색채로 물들이던 그라피티가 서서히 모습을 감추지만 바스키아, 키스 해링 등의 거리예술가들이 대중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기 시작한다. 베를린 장벽의 ‘킬로이 여기 있었다(Kilroy was here)’ / 위키피디아 그라피티와 거리예술은 자신의 에너지와 창조력이 예술이 되리라고 생각하···
[ 1450호
ㅣ
2021.11.01 ]
1
이번호 기사 베스트
지난호 기사 베스트
1
중국산 전기차 BYD, 한국서 ‘메기’ 될까
2
보수 몰락 자초하는 검사 출신 정치인들
3
사죄 대신 싸우려는 국가, 왜 피해자에 이기려 하나
4
(51) 어떻게 극우를 제거할 것인가
5
(44) 교통사고와의 전쟁…베트남, ‘벌금 폭탄’
6
이태원 참사 땐 왜 이렇게 하지 않았을까
7
“국가의 2차 가해, 법의 심판 받게 하고 싶었다”
8
엔비디아의 물리 AI는 허풍일까?
1
2030 남성, 그들은 왜 탄핵 집회에 없었나
2
(43) 통상임금 변경, 내 월급도 오르나
3
(23) 육사 명칭은 일제 잔재···‘12·3 비상계엄 사태’로 이어져
4
“12·3 계엄, 처단받지 않은 전두환 쿠데타의 후과”
5
최근 최상류서 발견된다는 ‘신종 어류’
6
(26) 당신은 “아니오”라고 말할 수 있습니까
7
캐나다도 그린란드도 미국 땅? 트럼프의 ‘계산된 도발’
8
영화관람료 내린다면서요?…기업 배만 불리는 ‘영비법’ 개정
시사 2판4판
공갈빵…
주간 舌전
“이놈들이 홍으로 가나”
오늘을 생각한다
용산의 역경루
공손찬은 중국 후한 말 북방민족들이 이름만 들어도 벌벌 떨 정도로 위세를 떨쳤던 화북의 군벌이다. 오늘날 베이징 근처 유주를 근거지로 세력을 키웠던 공손찬은 백마의종이라는 막강한 기병대를 중심으로 황건적과 만리장성 넘어 이민족들을 토벌하며 군세를 넓혀갔다. 탁월한 군사적 재능을 갖췄으나 성품이 포악했던 공손찬은 폭정을 일삼으며 민심을 크게 잃는다. 왕찬이 기록한 <한말영웅기(漢末英雄記)>에 의하면 공손찬은 자신의 얼굴을 똑바로 쳐다본다는 이유로 부하를 죽이는가 하면 유능한 관료들을 쫓아내고 점쟁이를 측근에 등용하는 등 막장 행각을 벌였다. 하루는 백성들 사이에서 덕망 높았던 관리 유우를 저자에 세워놓고 ‘네가 천자가 될 인물이라면 비가 내릴 것이다’라고 말한 뒤 비가 내리지 않자 그 자리에서 죽여버렸다. 분개한 수만의 유주 백성들은 유우의 아들과 합세해 공손찬을 공격했고, 라이벌 원소와 이민족들까지 연합해 공격하니 공손찬은 고립무원에 처한다. 사방이 포위된 공손찬은 기주 역현에 거대한 요새를 짓고 농성에 들어가니 이 요새가 역경성이다. 자신의 남은 전력을 요새 건설에 쏟아부은 공손찬은 “300만석의 양곡을 다 먹고 나면 천하정세가 달라질 것이다”라고 말하고 외부와 연락을 끊은 채 향락에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