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7.14 ~ 20
2025.07.15 (화)
자주쓰는 링크
로그인
회원가입
표지이야기
특집&이슈
정치
경제
사회
문화&과학
세계
스포츠
오피니언
연재
검색
연재
주간경향
>
생태줌인
물수리 ‘사냥의 기술’
물수리가 사냥해온 잉어와 마지막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 경기 고양시 곡릉천 상류.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2급이자 국제지정 보호종 물수리를 볼 수 있는 곳이다. 물수리는 몇년 전부터 9~10월이면 3~4마리가 이곳을 찾는다. 곡릉천 물이 맑아지면서 개체수가 늘어난 큰 메기와 잉어 등을 사냥한다. 물수리는 높은 공중으로 올라가 선회비···
[ 위클리경향 895호
ㅣ
2010.10.12 ]
그 섬에 날고 싶다
서해 최북단 무인도. 인천에서 여객선으로 2시간 넘게 걸리는 연평도 인근에 위치한 그곳은 새들의 온전한 천국이었다.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인 저어새와 노랑부리백로가 많았다. 인간과 충돌이 없는 새들의 고향 무인도. 천안함 사태의 후폭풍이 일고 있던 7월에다 북한 해주가 건너다보이는 곳에 갔지만 남북 사이의 긴장감은 느껴지지 않았다. ···
[ 위클리경향 891호
ㅣ
2010.09.07 ]
어린 보라매의 ‘홀로날기’
이번호부터 매월 1회씩 생태 사진을 게재합니다. 이재흥 조류사진가의 생생한 사진으로 천연기념물의 생태를 관찰할 수 있을 것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어미새가 새끼 새에게 먹이를 주고 있다. 5월 중순께의 모습이다. 충주 남한강변 마을야산 좌우 날개의 능선은 바람을 차단하고, 앞이 탁 트여 있다. 꼭 절집이 있어···
[ 위클리경향 888호
ㅣ
2010.08.17 ]
1
2
3
4
5
6
이번호 기사 베스트
지난호 기사 베스트
1
검사가 따져 물었다, 원전 왜 멈추냐고
2
(34) 이제 가면을 벗자
3
(9) 유럽은 다시 영국을 끌어안을 수 있을까
4
감사의 탈 쓴 징벌에 영혼 털려···국토부 직원 “요직도 싫다”
5
잊을 만하면 반복된 정책 수사…선 넘은 ‘윤석열 검찰’
6
경기도의 ‘주 4.5일제’ 실험은 성공할까
7
(13) 메이데이의 발상지 시카고
8
“AI 학습, 저작권 침해 아냐” 잇단 판결···저작권 논쟁 새 국면?
1
7월 5일 새벽 4시 18분, ‘일본 대재난’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2
보험료로 ‘삼성 지배권’···이재명 대통령은 재벌개혁 할 수 있을까
3
(35) ‘즉강끝’은 계엄 여건 빌드업···‘북 4군단 초토화’ 계획도
4
‘단아한’ 김 여사
5
달걀값 왜 올랐을까…동물 복지 vs 농가 담합
6
‘정보 유출’ 공방에 ‘준감위 회의론’까지···확산하는 삼성생명 회계 논란
7
셔터음이 막은 최신 사진 기술
8
40대 AI미래기획수석 기용의 의미
시사 2판4판
다가오는 ‘미국발 폭염’
주간 舌전
“굿바이 윤석열, 다신 보지 말자”
오늘을 생각한다
‘이대남’ 난감
지난 대선 이후 20대 남성들이 사회적 규명 대상으로 지목됐다. 많은 매체와 연구자가 경쟁적으로 ‘이대남’ 해석에 뛰어들었는데 저마다 강조점이 다르다. 어떤 사람들은 그 세대 남성에게 발견되는 돌출된 특징(극우적 경향)에 주목하고, 어떤 사람들은 그들에게 나타나는 복잡성에 주목한다. 말이 무성해질수록 실체가 흐릿해진다. 쫓는 자는 많은데 잡은 자는 없다. 이렇게 된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