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7.14 ~ 20
2025.07.15 (화)
자주쓰는 링크
로그인
회원가입
표지이야기
특집&이슈
정치
경제
사회
문화&과학
세계
스포츠
오피니언
연재
검색
연재
주간경향
>
생태줌인
소쩍새의 울음 “솥이 적다 솥이 적다”
도회지를 벗어나 여름 밤길을 걷다보면 발길을 멈추게 하는 소리가 있다. 천연기념물 제324-6호 소쩍새 소리다. 사냥을 하기 위해 소쩍새가 밤을 가르며 날아가고 있다. 해마다 이맘때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강매마을 한적한 곳의 고사목에서 소쩍새가 번식을 한다. 초여름에 찾아와 ‘솟쩍다 솟쩍다’ 하며 먼 곳과 가까운 곳에···
[ 935호
ㅣ
2011.07.26 ]
뜸부기는 무슨 생각을 하면서 울까
푸르게 자란 모포기 위로 뜸부기가 날고 있다. “뜸~북 뜸~북 뜸~북새 논에서 울고.” 동요 에 등장하는 뜸부기가 경기도 파주 문산 들판에 찾아왔다. 넓은 들판에 모내기가 끝난 것을 어떻게 알았을까? 작년에 이어 올해도 어김없이 찾아와 논두렁 위에서 몸을 끄덕이며 ‘뜸뜸’ 하고 소리를 낸다. 5월 말에 찾아온 뜸부기는 모가 ···
[ 932호
ㅣ
2011.07.05 ]
황조롱이 수컷의 암컷유혹 비법
황조롱이 수컷이 사냥한 먹이를 암컷에게 주고 구애에 성공해 짝짓기를 하고 있다. 황조롱이는 우리나라 텃새로 맹금류이며 천연기념물 제 223-8호다. 주로 작은 새와 들쥐를 사냥한다. 황조롱이 어미가 먹이사냥을 하고 둥지로 돌아와 새끼들에게 주고 있다. 황조롱이는 4월 초가 되면 암컷과 수컷이 서로 구애의 소리를 낸···
[ 928호
ㅣ
2011.06.07 ]
새끼에게 먹이를 주기 위해 올빼미는 초저녁부터 울었나 보다
야행성 올빼미가 칠흑 같은 밤에 사냥을 나왔다. 어미 올빼미가 느티나무 구멍 속 둥지를 관찰하며 날갯짓을 하고 있다. 어미 올빼미가 생쥐 한 마리를 사냥해 둥지로 돌아왔다. 야행성 조류답게 올빼미는 한낮에는 다가가도 날아가지 않고 바라만 보고 있다. 5월 초 천연기념물 제324-1호 올빼미를 만나러 충북 충주의 한···
[ 926호
ㅣ
2011.05.24 ]
갯벌 멋쟁이의 먹이활동
검은머리물떼새들이 썰물을 따라가며 먹이활동을 하고 있다. 썰물로 물이 빠지면 인천 송도 주변에는 많은 생명체가 살아 숨쉬는 잿빛 갯벌이 드러난다. 갯벌은 갯지렁이, 게, 조개, 해초류 등 먹이가 풍부해 새들에게 만찬장이 된다. 갯벌 매립지에서 물이 빠지기를 기다리던 물새들은 썰물의 끝자락을 따라가며 드러나는 갯벌의 각종 먹이를 잡아···
[ 923호
ㅣ
2011.05.03 ]
밤하늘의 지배자, 수리부엉이
수리부엉이가 비행을 하고 있다. 3월 말 갯바람이 부는 강화도 바닷가 절벽에 위장텐트를 쳤다. 밤하늘의 지배자 천연기념물 제324-2호 수리부엉이 둥지를 관찰하고 싶어서였다. 겨울이면 수리부엉이가 탄생하는 곳이다. 해안선 가로등불이 켜지면서 부엉이 울음이 들려왔다. 둥지 속 암컷은 귀를 쫑긋 세우고 맞은편 절벽을 ···
[ 920호
ㅣ
2011.04.12 ]
공중급식 ‘수컷의 외조’
거대한 바위절벽 앞으로 검푸른 바다가 펼쳐진 부산 태종대. 3월 초 ‘하늘의 사냥꾼’ 매가 번식을 위해 둥지를 트는 곳이다. 주변에 사냥감이 풍부해 새끼들을 기르기에 좋다. 천연기념물 제323-2호 매는 자기보다 몸집이 몇 배 더 큰 벌매 등이 나타나도 공격해 영역에서 쫓아낸다. 사냥을 위해 날개를 접고 급강하할 때는 시속 400여km나 ···
[ 917호
ㅣ
2011.03.22 ]
인내심의 대가, 살쾡이
삵이 사냥을 하기 위해 낮은 자세로 은밀하게 이동하고 있다. 지난 1월 초 경기 파주 임진강. 대지는 흰 눈으로 덮이고 강물은 얼어붙어 멈추었다. 혹독한 한파로 삶이 고달프기는 동물도 마찬가지. 기러기 등 물새들은 먹이를 찾아 눈이 녹아가는 양지바른 강가로 올라간다.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는 것이다. 그 곳에는 포식자 삵(살쾡이)이 숨어···
[ 914호
ㅣ
2011.03.01 ]
한강의 최상위 지배자
한강 상공을 선회 비행하는 참수리. 한강에 천연기념물 제243호 참수리 성조(成鳥)가 찾아왔다. 꼬리 깃과 날개 견장이 하얗고 부리는 황금색이다. 육중한 몸의 참수리는 사냥을 하기 위해서 하루에 두세 차례 비행을 한다. 한강 상공으로 참수리가 비행하는 모습을 보면 한강 하늘의 최상위 지배자 같아 보인다. 휴식을 취하는 곳도 ···
[ 911호
ㅣ
2011.02.08 ]
두루미 가족의 비상
두루미 한 가족의 어미는 다리를 쭉 펴고 바람을 가르며 날갯짓을 하는데 뒤따라가는 어린 것들은 추워서 다리를 깃털 속에 넣은 채 날고 있다. 잠에서 깨어난 두루미 무리가 새벽 한탄강에 모여 있다. 한쌍의 두루미가 다정하게 날고 있다. 갯벌에서 날고 있는 두루미 무리들. 시베리아에서 날아와 비무장지대를 넘나들며 월동하는···
[ 907호
ㅣ
2011.01.04 ]
‘겨울손님’ 황새
충남 서산 천수만에서 천연기념물 제199호 황새가 날아가고 있다. 높고 푸른 창공에서 황새 한 쌍이 그들만의 몸짓으로 마주보며 애정을 나누고 있다. 황새 한 쌍이 도도한 자태로 거닐고 있다. 천연기념물 제199호 황새가 올해도 충남 서산 천수만에 왔다. 전 세계 660여 마리로 추정되는 멸종위기종이다. 과거엔 우리나라···
[ 위클리경향 906호
ㅣ
2010.12.28 ]
겨울철새가 펼치는 장관
가창오리 무리가 일몰과 함께 마지막 날갯짓을 하고 있다. 노을 속 가창오리 군무의 풍경 푸른 간월호 위에서 가창오리 무리가 율동하고 있다. 수십만 마리의 가창오리 무리가 비상하고 있다. 한 해가 저물어가는 11~12월. 수많은 겨울철새들이 우리나라 곳곳에 날아든다. 충남 천수만은 겨울철새들이 가장 즐겨 찾는···
[ 위클리경향 903호
ㅣ
2010.12.07 ]
민통선 겨울손님 오다
재두루미 등 겨울 철새들의 낙원은 파주와 철원 부근 민간인출입통제선(민통선) 일대다. 멀고 먼 비행에 허기졌는지 선발대로 찾아온 재두루미들이 논바닥에서 알곡을 찾아먹기에 분주하다. 봄·여름 동안 러시아 캄차카 반도와 시베리아, 몽골, 중국 등에서 지내던 겨울철새들은 혹독한 겨울을 피해 10월 중순쯤 이곳으로 날아온다. 천연기념물 제2···
[ 위클리경향 899호
ㅣ
2010.11.09 ]
1
2
3
4
5
6
이번호 기사 베스트
지난호 기사 베스트
1
검사가 따져 물었다, 원전 왜 멈추냐고
2
(34) 이제 가면을 벗자
3
(9) 유럽은 다시 영국을 끌어안을 수 있을까
4
감사의 탈 쓴 징벌에 영혼 털려···국토부 직원 “요직도 싫다”
5
잊을 만하면 반복된 정책 수사…선 넘은 ‘윤석열 검찰’
6
경기도의 ‘주 4.5일제’ 실험은 성공할까
7
(13) 메이데이의 발상지 시카고
8
“AI 학습, 저작권 침해 아냐” 잇단 판결···저작권 논쟁 새 국면?
1
7월 5일 새벽 4시 18분, ‘일본 대재난’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2
보험료로 ‘삼성 지배권’···이재명 대통령은 재벌개혁 할 수 있을까
3
(35) ‘즉강끝’은 계엄 여건 빌드업···‘북 4군단 초토화’ 계획도
4
‘단아한’ 김 여사
5
달걀값 왜 올랐을까…동물 복지 vs 농가 담합
6
‘정보 유출’ 공방에 ‘준감위 회의론’까지···확산하는 삼성생명 회계 논란
7
셔터음이 막은 최신 사진 기술
8
40대 AI미래기획수석 기용의 의미
시사 2판4판
다가오는 ‘미국발 폭염’
주간 舌전
“굿바이 윤석열, 다신 보지 말자”
오늘을 생각한다
‘이대남’ 난감
지난 대선 이후 20대 남성들이 사회적 규명 대상으로 지목됐다. 많은 매체와 연구자가 경쟁적으로 ‘이대남’ 해석에 뛰어들었는데 저마다 강조점이 다르다. 어떤 사람들은 그 세대 남성에게 발견되는 돌출된 특징(극우적 경향)에 주목하고, 어떤 사람들은 그들에게 나타나는 복잡성에 주목한다. 말이 무성해질수록 실체가 흐릿해진다. 쫓는 자는 많은데 잡은 자는 없다. 이렇게 된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