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4.28 ~ 5.4
2025.04.27 (일)
자주쓰는 링크
로그인
회원가입
표지이야기
특집&이슈
정치
경제
사회
문화&과학
세계
스포츠
오피니언
연재
검색
연재
주간경향
>
핸드메이드 레슨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
“노조건 정치인이건 아래로 내려가야죠” 정년퇴임 맞은 ‘감옥’과 ‘사색’의 지성인… 다투지 않고 낮게 흐르는 ‘물의 철학’ 강조 "없는 사람이 살기는 겨울보다 여름이 낫다고 하지만, 교도소의 우리들은 차라리 겨울을 택합니다… 모로 누워 칼잠을 자야 하는 좁은 잠자리는 옆사람을 단지 37도의 열덩어리로 느끼게 합니다. 이···
[ 뉴스메이커 690호
ㅣ
2006.09.05 ]
휴가를 체험학습의 장으로
재무상담가는 시행착오를 줄여주는 미래설계 동반자 피서지에서도 값싸고 알차게 자녀교육을 할 수 있다. 가까이 지내는 가족들이 함께 강화도 근처 섬으로 여름휴가를 갔다. 외포리에서 배로 1시간 걸리는 볼음도인데, 중학교에 학생과 선생이 각각 세 명씩인 정말 외롭고 고요한 섬이다. 2박3일 여행에 회비는 뱃삯을 포함해 한 사람당 3만 원이···
[ 뉴스메이커 688호
ㅣ
2006.08.22 ]
우린 ‘도로 민정당’을 거부한다
한나라당 소장·개혁파의 뜨거운 몸짓… “이대로 가면 내년 대선 승리는 요원” 한나라당 내 대표적 소장 개혁그룹인 수요모임의 남경필 신임대표(오른쪽)와 박형준 전 대표가 7월 20일 염창동 당사에서 기자브리핑을 하고 있다. 지난 7월 20일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린 한나라당 범소장·개혁파 연합체인 미래모임 토론회. ‘전당대회 평가와 한나···
[ 뉴스메이커 685호
ㅣ
2006.08.01 ]
미국 ‘소말리아 고민’ 전전긍긍
수도 모가디슈 이슬람반군세력이 점령… 알 카에다 연계성·테러조직 피난처 우려 모가디슈를 장악한 JIC의 민병대. 15년 내란의 종지부를 찍고 평화를 가져올 것인가, 제2의 아프가니스탄이 될 것인가. 오랜 내전으로 혼란을 겪고 있는 아프리카 소말리아에서 이슬람 반군 세력인 ‘이슬람법정연대(JIC)’가 6월 6일, 수도 모가디슈···
[ 뉴스메이커 682호
ㅣ
2006.07.11 ]
들어갈 때 나올 때, 표정 다른 취업설명회
뻔한 내용 반복하고 기업 홍보에만 주력… 학생들 불만에 기업·학교 ‘네 탓이오’ 위_5월 4일 이화여대 학생문화관 강당. 시작되기 전 300석 규모의 강당이 꽉 찼다.아래_5월 17일 연세대학교 경영관 강당. 설명회 시작 1시간 뒤, 학생들 대부분은 행사장을 빠져나갔다. "어쩌죠? 팜플렛이 다 떨어졌는데….” 5월 4일 오후 ···
[ 뉴스메이커 681호
ㅣ
2006.07.04 ]
수박 고정관념 파괴
타도 무너지지 않을까 5월 31일 영국 해변 도시 브라이튼에서 열린 세계 모래조각 축제에서 조각가들이 다양한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 이번 축제를 위해 1만t에 달하는 모래가 네덜란드 등에서 배편으로 수송됐다. 타이어와 한판 중국 허베이에서 열린 천하장사선발대회에서 한 남자가 250㎏에 달하는 대형 타이어를 세우기 위···
[ 뉴스메이커 678호
ㅣ
2006.06.13 ]
1
이번호 기사 베스트
지난호 기사 베스트
1
(1) 기재부 또 한 번 쪼개나요?
2
통제받는 원전, 에너지 안보인가 종속인가
3
(50) 한국, 신남방 2.0으로 아세안과 함께 나아가야
4
미·중 무역전쟁의 ‘가혹한 선택’ 요구받는 아세안
5
(55) 영드 ‘소년의 시간’, 살인자의 이해를 이해하기
6
인간 얼굴을 한 아바타, 디지털 휴먼
7
(46) ‘혐오’ 상쇄하는 ‘접촉’의 힘
8
기후위기 시대의 위대한 비즈니스
1
2400원 횡령에 ‘장발장 판결’…최고위 법관들이 놓친 것
2
(30) 군 장성 인사, ‘대선 전’ vs ‘대선 후’ 충돌
3
한덕수 차출설에 김문수 대망론 흔들
4
“산불 난리인데 경북지사가 시장에 왜 오나”
5
트럼프, 관세 다음 타깃은 환율?
6
(37) 윤석열 탄핵의 개운치 않은 뒷맛
7
“경향 기사 공유하지 말아 주세요”
8
(30) 관계에서 배운다
시사 2판4판
반명 빅텐트?
주간 舌전
한덕수 노욕의 ‘난가병’ 빠져
오늘을 생각한다
기후위기 시대의 위대한 비즈니스
아웃도어 의류 및 장비 브랜드 파타고니아는 대표적인 친환경 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제품 생산과정에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최선을 기울일 뿐 아니라 좋을 때나 어려울 때나 매년 매출의 1%를 환경 활동에 기부하고, 환경을 훼손하는 정부 정책에 직접적으로 맞서 소송을 하는 놀라운 회사다. 2022년 회사 지분 전액을 기후대응을 위한 비영리 재단에 기부함으로써 지구만이 유일한 주주라고 선언해 ‘넘사벽’이 됐다. 이러한 선택은 어떻게 가능할까. 파타고니아의 기업정신과 경영철학을 배우는 ‘파타고니아 비즈니스 스쿨’을 통해 크리스 톰킨스(Kris Tompkins) 초대 CEO와 라이언 겔러트(Ryan Gellert) 현 CEO를 비롯한 10여 명의 전·현직 기업 고관여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기회를 갖게 됐다. 놀라운 것은 연령, 성별, 개성이 다른 그들과의 대화가 각각 특별한 한 편, 하나의 책을 읽듯이 자연스럽고 매끄럽다는 점이다. 지속가능경영이 기업 또는 조직의 핵심 경영 방침 및 활동 전반에 통합된 것을 넘어 말 그대로 조직문화와 구성원들의 의식에 ‘내재화’했음을 느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