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3.17 ~ 23
2025.03.15 (토)
자주쓰는 링크
로그인
회원가입
표지이야기
특집&이슈
정치
경제
사회
문화&과학
세계
스포츠
오피니언
연재
검색
세계
주간경향 >
세계
내 편 네 편 가르는 국가들, 세계화 시대가 저물어간다
미국 주도의 ‘세계화’ 시대가 종말을 알리고 있다. 전환 신호를 가장 두드러지게 보내는 곳은 경제다. 가장 싼 곳에서 물건을 생산해 가장 비싼 곳에서 팔고, 가장 세율이 낮은 곳에서 세금을 내던 시대가 끝나가고 있다. 세계는 동일한 경제질서, 가치, 규범을 공유하는 국가들끼리 뭉치는 글로벌 가치사슬(GVC·Global Value Chain···
[ 1486호
ㅣ
2022.07.18 ]
우리가 모르는 베트남
(25)모자이크 같은 베트남의 소비층
베트남에는 수많은 종류의 쌀국수가 있다. 한국에서 흔히 ‘베트남 쌀국수’라고 부르는 ‘퍼어(Pho)’도 있고, 가락국수처럼 굵은 면발에 얼큰한 빨간 국물이 일품인 중부 지방의 ‘분 보 후에(Bun Bo Hue)’라는 쌀국수도 있다. 또한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베트남을 방문하면서 전 세계에 알려진 ‘분 짜 하노이(Bun Cha Hanoi)’···
[ 1486호
ㅣ
2022.07.18 ]
정봉석의 북미 환경편지
(8)평화롭던 캐나다에 거친 바람이 분다
캐나다에는 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탄생을 기념하는 공휴일이 있다. 1837년 즉위 후 64년간 영국 여왕으로 재임했던 빅토리아 여왕은 당시 캐나다의 직접적인 통치자였다. 그 당시 생긴 빅토리아 공휴일이 150년 넘게 이어져 오고 있다. 물론 현재 캐나다는 독립국이지만 과거 영국 통치의 흔적이 많이 남아 있는 영연방국가 중 하나다. 명목상이긴···
[ 1486호
ㅣ
2022.07.18 ]
미국발 인플레이션, 바이든 삼켜버리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스페인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6월 29일(현지시간) 마드리드 이페마 컨벤션센터에서 아시아 태평양 파트너 4개국 정상,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가운데)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대통령실사진기자단 “고물가를 잡기 위한 전 세계적 고금리 정책에 따른 자산가격 조정 국면···
[ 1485호
ㅣ
2022.07.11 ]
거꾸로 가는 인도의 민주주의
모디 정부, 힌두 민족주의에 기반 둔 ‘권위주의 정책’ 확대
100점 만점에 66점. 자칭 ‘세계 최대 민주주의 국가’라 자랑하는 인도가 올해 받아든 성적표다. 5년 전보다 무려 11점이나 하락했다. 미국의 싱크탱크 프리덤하우스는 지난 2월 공개한 ‘2022 세계자유보고서’에서 “자유롭게 선출된 지도자들이 반민주적인 행동을 취하면서 전 세···
[ 1485호
ㅣ
2022.07.11 ]
우리가 모르는 인도
(25)코로나 시대 진화하는 인도 요가
코로나19는 ‘타인’과 함께 살아가는 문제를 깊이 성찰하도록 만든 시간이었다면, 이로인해 요가의 트렌드 역시 신체적 영역에서 몸과 마음이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영역을 넓히고 있습니다. 주한 인도대사 (왼쪽에서 다섯 번째), 주한 인도문화원장 (왼쪽에서 두 번째) / 한유진 제공 지난 6월 21일은 제8회 세계 요가의 날이었습···
[ 1484호
ㅣ
2022.07.04 ]
김우재의 플라이룸
(27)이민청과 노벨상의 꿈
김대중 정부의 BK21 계획으로 한국의 이공계 대학원은 안정적인 대학원생 육성에 성공했다. 하지만 BK21로 쏟아져 나온 이공계 박사들을 흡수할 일자리는 부족했고, 한국이 길러낸 이공계 박사 인력의 대부분은 중국, 미국, 싱가포르 등으로 흘러들어가고 있다. 2020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의 ‘이공계 인력의 국내외 유출입 수지···
[ 1482호
ㅣ
2022.06.20 ]
우리가 모르는 베트남
(24)베트남은 살아 있다
“베트남 싸라 있네!” 2년 만에 베트남에 출장 온 모 업체 대표가 꽉 막힌 도로에 갇히자 기분 좋게 영화 대사를 흉내 내며 탄성을 질렀다. 호찌민의 오토바이는 800만대가 넘는다. 출퇴근 러시아워뿐 아니라 도로는 오토바이 물결로 정체됐다. 그러던 도로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2년 동안 한산했는데 팬데믹이 마무리돼가는 시점이어선지 막···
[ 1482호
ㅣ
2022.06.20 ]
전규열의 세계는 창업 중
(17)스페인이 ‘스타트업 허브’로 뜬 비결은?
유럽 스타트업 생태계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스타트업 익스플로러(Startup Explore)의 2019년 조사에 따르면 스페인은 스타트업 투자 규모에서 영국과 독일, 프랑스에 이어 유럽 4위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설립한 범유럽 스타트업 플랫폼 ‘스타트업 유럽 파트너십(SEP)’은 2019년 발간한 정기 연구 보고서에서 스페인이 스케일···
[ 1482호
ㅣ
2022.06.20 ]
‘제로 코로나’ 시진핑에 독배되나
중국 경제 상황 악화에 리커창 급부상… 방역정책 불신도 깊어져
“올해는 내가 총리를 맡는 마지막 1년이다.” 시진핑 국가주석과 리커창 총리 등 중국 지도부가 모두 참석한 가운데 지난 3월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전국인민대표대회 개막식이 열리고 있다. / 베이징|연합뉴스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가 지난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 1482호
ㅣ
2022.06.20 ]
정봉석의 북미환경 편지
(7)사라지는 것들
캐나다 토론토에 봄기운이 완연하다. 길고 길었던 캐나다 동장군의 위용은 봄비와 함께 녹아내리며 멀게만 느껴졌던 봄기운이 어느새 이곳에도 스며들었다. 흰 눈에 숨어 있던 회색의 잔디와 나무가 조금씩 무채색의 겉옷을 떨쳐 내고 푸른색의 속살을 하나씩 보이기 시작한다. 곳곳에 꽃망울이 맺히고 터지면서 민들레, 목련, 매화, 벚꽃 등이 만든 화려···
[ 1481호
ㅣ
2022.06.13 ]
아세안 기업열전
(22)베트남의 ‘국민 소스 기업’ 마산
한국의 해외 투자 대상국 1위는 미국이며 2위는 아세안이다. 아세안 10개국 가운데 한국기업들이 가장 관심을 쏟고 있는 지역은 바로 베트남이다.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수가 많고, 투자도 증가하면서 현지기업에 직접 투자한 사례도 있다. 한국 SK가 지분을 투자한 마산그룹이 대표적이다. 2018년 SK가 5300억을 투자해 9.5%의 지···
[ 1481호
ㅣ
2022.06.13 ]
우리가 모르는 인도
(24)‘선각자’ 타고르의 혜안
“일찍이 아시아의 황금시대에 빛나던 등불의 하나인 코리아, 그 등불 한번 다시 켜지는 날에 너는 동방의 찬란한 빛이 되리라.” K팝과 드라마 열풍으로 한국문화의 르네상스 시대를 맞이한 듯한 요즘, 이 시는 마치 지금의 세계적인 한류를 예고하기라도 한 듯 깊은 울림을 줍니다. 타고르 탄생 161주년 기념행사 설치물 / 한유진 제공···
[ 1480호
ㅣ
2022.06.06 ]
이전페이지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페이지
이번호 기사 베스트
지난호 기사 베스트
1
(46) ‘7세 고시’에 노동법을 넣자
2
(53) 우리는 어떤 자유주의를 원하는가
3
고작 돌멩이
4
당신의 생각은 ‘당신만의 것’이 아니다
5
불평등과 양극화는 극우의 자양분
6
(43) 고전 원작 무대 ‘박제냐 재해석이냐’
7
(59) 과학혁명, 학술지 개혁에서 시작하라
1
“탄핵 찬성하되 민주당은 아니라는 30%의 국민 마음 얻어야”
2
(27) 급부상한 김선호 국방부 장관 대행 ‘★ 인사 가능할까’
3
중도보수 민주당? 대선 패배 후 계속 ‘우클릭’했다
4
(24) 땅이 보내는 경고, 노후 인프라와 싱크홀
5
친명 대 반명의 조기대선 예상…“중도를 내 품에” 샅바 싸움
6
12·3 비상계엄, 헌법의 심판만 남았다
7
극우가 낯설지 않다
8
역대 최저 기록한 소득불평등···설마요, 진짜요?
시사 2판4판
소망? 사전투표제 폐지
주간 舌전
“엔비디아가 붕어빵처럼 나오나”
오늘을 생각한다
불평등과 양극화는 극우의 자양분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 지귀연 판사와 심우정 검찰총장의 윤석열 구속 취소와 석방 결정으로 정세는 더 혼란스러워졌다. 극우세력은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다. 가짜뉴스로 혐오와 폭력을 선동하고, 선거 시스템에 대한 불신도 조장한다. 아무리 사실관계를 정정해도 들으려 하지 않으니 소통 불가능한 수준이다. 물론 우리 사회에는 그 전부터 극우주의자들이 있었고, 곳곳에서 암약하며 세력화하고 있었다. 동시에 인터넷상의 몇몇 남초 커뮤니티에선 일부 청년 남성의 극우화를 이끌고 있기도 했다. 이 둘이 만나 나쁜 시너지를 일으키고 있다. 이들 중 일부가 서울서부지방법원 폭동을 벌였고, 여전히 인종주의적이고 극우주의적인 혐오 선동을 유포하고 있다. 이들은 윤석열 퇴진과 민주주의, 평등을 향한 목소리를 죄다 ‘빨갱이’나 ‘친중’으로 규정하고, 가짜뉴스로 조선족에 대한 혐오 선동을 강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