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디 온 사과…노모는 103일을 기다렸다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고 강보경 디엘이앤씨 하청노동자의 어머니 이숙련씨가 16일 서울 서대문구 디엘이앤씨 본사 앞 분향소에서 아들의 영정에 얼굴을 맞대고 있다. 성동훈 기자

고 강보경 디엘이앤씨 하청노동자의 어머니 이숙련씨가 16일 서울 서대문구 디엘이앤씨 본사 앞 분향소에서 아들의 영정에 얼굴을 맞대고 있다. 성동훈 기자

“회사에서 누구라도 와서 영정에 꽃이라도 놓아 주면 내 마음이 좀 풀릴 긴데… 아무도 그래 안 하네예.”

고 강보경씨(29)가 세상을 떠난 지 97일째 되던 지난 11월 16일, 서울 종로구 디엘이앤씨 본사 앞 분향소에서 먼저 간 아들의 사진에 볼을 맞댄 이숙련씨가 나지막이 읊조렸다. 아들 강씨는 지난 8월 부산 연제구 신축아파트에서 디엘이앤씨 하도급업체인 KCC 소속 일용직으로 일하다 창호 교체작업 중 추락해 사망했다. 추락 방지 고리, 안전망 등 안전장치는 없었다. “유리창 잡고 떨어질 때 얼마나 놀랐을까. 그걸 생각하면 잠을 못 잡니더. 너무 억울해서….” 이씨가 말했다.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지난해 1월 이후 디엘이앤씨 산하 공사 현장에선 7건의 사고가 발생했고, 8명이 숨졌다. 지난 8월 말 고용노동부가 디엘이앤씨를 압수수색 했지만 아무도 기소되지 않았다.

어머니 이씨가 일흔의 노구를 이끌고 1인 시위와 각종 집회에 나선 지 한 달여 만인 지난 11월 20일, 디엘이앤씨 마창민 대표이사와 KCC 정재훈 대표이사는 강씨 분향소를 찾아 조문했다. 이튿날 디엘 그룹은 “고 강보경 님과 현장에서 숨진 근로자분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분들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라며 8명의 유족에게 공식 사과했다. 강씨가 사망한 뒤 103일 만이었다.

<사진·글 | 성동훈 기자 zenism@kyunghyang.com>

렌즈로 본 세상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