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아라! 양심의 가책일랑 잊고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신간 탐색]놀아라! 양심의 가책일랑 잊고

놀이하는 인간
노르베르트 볼츠 지음·윤종석 외 옮김 문예출판사 펴냄·1만5000원

출퇴근길 스마트폰 게임이나 일과 중 짬짬이 혹은 몰래 보는 야구경기. 놀이는 우리 일상 도처에 깔려 있지만 놀이에 대한 적대적 시각은 팽배하다. ‘놀지 못해 아픈 이들을 위한 인문학’이란 부제가 달린 이 책은 우리의 삶과 현대사회에서 천대받고 추방된 놀이를 복원해 학문적 접근을 시도한다.

책은 놀이가 ‘공공의 적’이 된 것은 자본주의적 가치가 우리 삶을 지배하게 되면서부터라고 설명한다. 놀이에 대한 적대가 근대의 산물이라는 얘기다. 유럽에서 기독교가 노동을 삶의 우선적 가치로 설교한 이래 19세기부터 이런 흐름이 본격화됐고, 여기에 청교도적 ‘쾌락 적대주의’가 가세하며 부정적 인식이 더욱 강해졌다는 것이다. 이런 기반에서 성장한 자본주의 국가는 노동이나 성취와 관련이 없는 놀이와 쾌락에 더욱 적대적일 수밖에 없었다.

독일 베를린공대 미디어학과 교수인 저자는 비록 놀이가 생산성의 측면에서 쓸모없는 것일지라도, 놀이야 말로 삶의 즐거움을 가장 순수하게 표현하는 행위이며, 놀이를 할 때 비로소 ‘완전한 인간’이 된다고 말한다. “놀이는 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이며, 게임은 우리 삶을 추진하는 모험심과 안정감, 인정, 응답과 같은 소망을 충족시켜줄 가장 훌륭한 도구”라고 놀이를 적극 옹호한다.

저자는 더 나아가 19세기까지는 ‘생산자의 시대’였고 20세기가 ‘소비자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놀이하는 사람의 시대’가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창의적 잠재력으로 우리 현실에 침투하고 있는 것이 바로 놀이라는 얘기다. 아울러 국가주의자들이 죄악, 혹은 중독이라고 공격하는 놀이가 결국에는 돈의 문제이거나 중독에 대한 사회적 용인의 차이인 경우가 많다고 지적하면서 오히려 “놀이를 하지 않는 사람이 더 위험하다”고 주장한다.

<선명수 기자 sms@kyunghyang.com>

신간 탐색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