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의 구석구석 사회공헌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10년째 ‘홀몸 어르신 멘토’ ‘아동행복 지킴이’ 등 다양한 봉사활동

포스코 포항제철소와 각 계열사 및 외주 파트너사의 임직원·가족들로 구성된 ‘포스코패밀리봉사단’에게 매월 셋째 주 토요일은 특별한 날이다.

소외된 이웃과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곳을 찾아 봉사활동을 벌이는 ‘나눔의 토요일’이기 때문이다. 2004년부터 일반봉사와 전문봉사그룹 등 총 348개 그룹별로 봉사활동을 펴온 지 벌써 10년이 됐다.
그 세월 동안 흘린 땀방울만큼 사회공헌활동도 진화하고 있다.

올해 7월 출범한 포스코 포항제철소 아동청소년 멘토링전문 봉사단원이 포항지역 청소년들에게 학습지원을 하고 있다. | 포항제철소 제공

올해 7월 출범한 포스코 포항제철소 아동청소년 멘토링전문 봉사단원이 포항지역 청소년들에게 학습지원을 하고 있다. | 포항제철소 제공

포항제철소 각 부서와 포항지역 읍·면·동 단위의 자매결연은 1991년 처음 시작된 후 현재 127개로 늘었다. 결연인구도 무려 42만8000명. 포항시 전체인구의 82%에 이른다. 제철소 임직원들은 자매마을 일손돕기와 농수산물 팔아주기 등의 도움을 주고 있다.

포스코 스킨스쿠버동호회 회원들은 2009년부터 ‘클린오션 봉사’에 참여하고 있다. 제철소와 포항의 각 해안마을 주변에서 폐그물·폐타이어 등을 건져내는 수중 정화활동이다.

포항시 전체인구의 82%와 자매결연
지금까지 5년여 동안 210회에 걸쳐 1만430여명이 봉사활동에 참여했다. 지난해 3월 말에는 더욱 효율적인 정화활동을 위해 전용선박인 ‘클린오션봉사호’를 취항하기도 했다.

‘홀몸 어르신 멘토링 봉사’도 5년째 계속되고 있는 중요한 봉사활동 중 하나이다. 봉사단은 고독·가난·무위에 시달리며 홀로 살고 있는 어르신들에게 생활용품을 지원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시간 날 때마다 찾아가 말벗이 되어주거나 심지어 크고 작은 심부름까지 해주고 있다. 이 봉사는 애초 포항제철소 각 부서별로 운영해 오다 지난해부터 연합해 ‘섬김이 봉사단’으로 공식 발족했다. 포스코는 어르신들이 필요한 물품을 회사 차원에서 지원한다.

불우 아동·청소년을 위한 멘토링 봉사도 있다. 올해 7월 주로 젊은 엔지니어들이 중심이 돼 ‘아동행복 지킴이봉사단’이라는 이름으로 출범했다. 이들은 굿네이버스 포항 아동보호 전문기관의 교육을 받으며 아동청소년들을 돌본다. 도움을 받는 학생의 희망에 따라 매주 1회 퇴근과 함께 학습지원, 체육활동, 고민상담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또 사랑의 집 고쳐주기 활동은 2006년 처음 시작한 이후 낡은 주택에 사는 불우이웃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고 있는 사업이다. 지금까지 매년 20여가구의 불우이웃들이 찬바람이 스며드는 슬레이트 지붕의 낡은 가옥에서 콘크리트 지붕에다 현대식 주방을 갖춘 건물에 새로 입주해 살고 있다.

포스코의 사회공헌은 이외에도 무료급식소·다문화가족 지원·포스코미소금융 등 다양하다. 미소금융은 신용등급이 낮아 금융권의 대출을 받기 어려운 서민들의 자립을 돕기 위해 포스코가 2010년 1월부터 운영 중인 서민 금융지원사업이다.

한형철 포항제철소 행정섭외그룹장은 “포스코는 포항시민의 배려와 사랑에 힘입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한 것을 잘 알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지역민과 상생할 수 있도록 나눔실천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승목 경향신문 전국부 기자 smbaek@kyunghyang.com>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