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 대중화 그 이후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신간]페미니즘 대중화 그 이후

다시 페미니즘의 도전

정희진 지음·교양인·1만8000원

저출생의 원인이 뭘까. 단순히 출산 기피일까? 저자는 결혼 기피와 만혼의 결과이며, 이는 남녀 집단 간 인식 불균형 탓이라고 본다. 2015년 ‘페미니즘 대중화’ 이후 여성에게는 페미니즘이 기본값이 됐지만, 남성의 여성관과 자아 인식은 그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남자가 피해자”라는 피해 의식의 원인도 집단적 ‘문화 지체 현상’에서 찾는다. 그는 그간 여성주의의 중심에 있었던 피해자 중심주의를 비판한다. 규범적인 피해자 이미지가 전제돼 “여성에게 불리할 뿐 아니라 실현 불가능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난민과 트랜스젠더 여성 배제도 꼬집는다. 2005년 <페미니즘의 도전>으로 여성주의를 소개했던 저자가 ‘김건희 여사 비판이 미소지니인지’ 등 한국사회 성정치학의 쟁점들을 재해석했다. 그는 힘주어 말한다. 페미니즘은 ‘모든 여성을 비난해선 안 된다’는 주장이 아니라 오히려 그 반대라고.

[신간]페미니즘 대중화 그 이후

멸망한 세계에서 우리가 나비를 쫓는 이유

조나단 케이스 지음·조은영 옮김·원더박스·2만원

2049년 시작된 태양 대격변. 지하 9m 위쪽에 사는 포유류는 태양 복사선을 못 버티고 거의 멸종했다. 2101년, 10세 소녀 엘비는 제왕나비 날개 비늘 연구를 통해 더 오래가는 ‘일광병’ 백신을 개발 중인 플로라 아줌마와 함께 약탈자들을 피해 이동한다. 엘비는 멀고 먼 멕시코 제왕나비숲으로 떠난 엄마·아빠를 만날 수 있을까. 아이즈너상 수상작가의 손에 땀을 쥐게 하는 그래픽 노블이다. 인류 탓에 멸종위기에 놓인 제왕나비가 인류 생존의 열쇠인 상황이 역설적이다.

[신간]페미니즘 대중화 그 이후

행동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김명남 옮김·문학동네·5만5000원

그 행동을 대체 왜 했을까. 호르몬이나 진화 덕에? 유년기 경험이나 유전자 때문에? 아니면 문화의 영향으로? 사실 이 모든 것은 얽혀 있다. 신경의학자가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대해 다양한 학문을 넘나들며 분석한다.

[신간]페미니즘 대중화 그 이후

사후 세계를 여행하는 모험가를 위한 안내서

켄 제닝스 지음·고현석 옮김·세종·2만3000원

신화·경전·영화 속 사후 세계를 7가지로 분류하고 지옥, 별세계, 발할라, 연옥, 열반 등 100곳으로 독자들을 안내한다. 실제 여행가이드북마냥 현지 정보, 당일 여행, 머물 곳, 가는 방법 등 온갖 ‘저세상’ 정보를 담았다.

[신간]페미니즘 대중화 그 이후

나는 매일 아침 솔숲에 다녀온다

조헌 지음·소소담담·1만7000원

30여 년간 교단에서 만났던 제자들, 장애인복지관 글쓰기 강의를 하면서 만난 장애인 청년, 군대 동기, 길에서 만난 젊은이 등 인물 서사가 주를 이루는 수필집이다. 짧지만 깊은 사연마다 가슴을 울리는 메시지로 가득하다.

<임소정 기자 sowhat@kyunghyang.com>

신간바로가기

이미지
용산의 역경루
오늘을 생각한다
용산의 역경루
공손찬은 중국 후한 말 북방민족들이 이름만 들어도 벌벌 떨 정도로 위세를 떨쳤던 화북의 군벌이다. 오늘날 베이징 근처 유주를 근거지로 세력을 키웠던 공손찬은 백마의종이라는 막강한 기병대를 중심으로 황건적과 만리장성 넘어 이민족들을 토벌하며 군세를 넓혀갔다. 탁월한 군사적 재능을 갖췄으나 성품이 포악했던 공손찬은 폭정을 일삼으며 민심을 크게 잃는다. 왕찬이 기록한 <한말영웅기(漢末英雄記)>에 의하면 공손찬은 자신의 얼굴을 똑바로 쳐다본다는 이유로 부하를 죽이는가 하면 유능한 관료들을 쫓아내고 점쟁이를 측근에 등용하는 등 막장 행각을 벌였다. 하루는 백성들 사이에서 덕망 높았던 관리 유우를 저자에 세워놓고 ‘네가 천자가 될 인물이라면 비가 내릴 것이다’라고 말한 뒤 비가 내리지 않자 그 자리에서 죽여버렸다. 분개한 수만의 유주 백성들은 유우의 아들과 합세해 공손찬을 공격했고, 라이벌 원소와 이민족들까지 연합해 공격하니 공손찬은 고립무원에 처한다. 사방이 포위된 공손찬은 기주 역현에 거대한 요새를 짓고 농성에 들어가니 이 요새가 역경성이다. 자신의 남은 전력을 요새 건설에 쏟아부은 공손찬은 “300만석의 양곡을 다 먹고 나면 천하정세가 달라질 것이다”라고 말하고 외부와 연락을 끊은 채 향락에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