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에서 가장 물좋은 교회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교회를 연애당이라 말했던 시절이 있다지만 우리 세대에게 교회는 이미 다른 종류의 커뮤니티였다. 많은 인디밴드들은 고백한다. 교회나 성당에서 악기를 배우기 시작했노라고. 없는 시절에야 부활절 달걀이나 크리스마스 선물, 성경학교라는 이벤트만으로도 아이들이 교회에 가야 할 이유는 충분했다.

세계 역사상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한국 교회의 폭발적 성장이 가능했던 이유에는 경제성장이 있었다. 도시로 모여든 지방 출신의 젊은이들, 공장 밀집지역의 젊은 여공들에게 교회는 최소한의 소속감, 또는 그 이상을 제공해주었다. 미국에서 발간되는 <크리스천 월드>가 1993년에 발표한 세계 대형 교회의 순위를 보면, 세계 10대 대형 교회 안에 한국 교회가 1위와 2위를 포함하여 5개가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이 소식은 기독교 내에서 자신들의 자부심을 강조하는 서사로 끊임없이 소환되었다. 도시화된 공간에 생겨난 대표적인 지역 교회들은 개발 시기 땅을 샀고, 수도권의 적당한 임야를 사 기도원을 지었다. 부동산 가격은 올랐고 헌금의 액수는 나날이 증가했다. 차례로 헌금의 카드 결제, 자동이체, 종교 기부금의 연말정산 등이 도입되었다.

이명박 대통령이 장로직을 맡고 있는 서울 강남구 소망교회. | 경향신문

이명박 대통령이 장로직을 맡고 있는 서울 강남구 소망교회. | 경향신문

한국 사회에서 주류 사회로 편입하는 데 필수적인 몇 가지 코스 중 하나가 개신교다. 명문고-명문대로 이어지는 학벌, 재력이 갖춰진 집안, 교회의 장로직(이명박 전 대통령마저 소망교회에서 장로가 되기 위해 주차요원을 몇 년이나 했다고 하지 않는가!), 조찬기도회 참석 등이 바로 그것이다. 개신교는 이미 종교가 아니었다. 사교의 장이고, 비즈니스의 현장이었으며, 문화자본이 ‘형제와 자매의 이름으로’ 공유되고 전수되는 곳이었다. 자녀들은 부모와 함께 대형 교회에 출석했다. 교회에서는 끝없이 성경 공부, 아버지 학교, 해외 단기 선교(사실상 해외 여행)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해 중산층의 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해냈다. 이것은 우리 시대 중산층의 풍경이다.

젊은이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기로 유명한 삼일교회와 사랑의 교회는 SKY 대학 출신의 청년들이 많기로도 유명하다. 한때 이들은 강남의 웬만한 나이트보다도 ‘물이 좋은 것’으로 패션잡지에 등장했을 정도였다. 즐기고 싶다면 클럽이지만, 결혼과 연애 대상을 찾는다면 이런 교회가 적격이었다. 그러나 교회에서 청년은 여전히 계도의 대상이며 미성숙한 인격체 취급을 당했다. 한국 사회의 가장 보수적인 문화를 가진 교회라는 공간에서 ‘결혼하지 않은 성년’은 사실상 ‘나이를 먹은 학생’일 뿐이었다. 한편으로 이들은 교회 내에서 주일학교 교사 등을 맡아야 하는 일손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현재 내가 출석 중인 교회는 여자에게 목사 안수를 주지 않는 보수적인 교단 소속으로, 대예배 때는 장로를 비롯해 남자 집사가 강대상에 올라 대표 기도를 할지언정 여자 집사, 여자 교역자, 권사 등은 공식적으로 ‘대표 기도’에서 철저히 배제되어 왔다. 그녀들은 지하 식당에서 성도들을 위한 점심을 만들 때 가장 아름답다고 여겨진다. 10년 가까이 교회에 나갔지만 교역자들의 인사를 받아본 적이 없는 나와는 달리 남동생은 예배 끝나고 나올 때마다 남자 목회자들의 악수를 꼬박꼬박 받는다.

한국 개신교는 정말 문제가 많지만, 오늘처럼 지역 공동체가 사라진 때에 교회는 많은 역할을 대신한다. 우리에게는 청소년기와 청년기의 교회 기억들이 하나쯤은 있다. 종교는 사회의 사유체계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지금의 내 세대의 목사들은 아무리 뛰어난 목회를 할지라도 그런 부흥의 역사를 재현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것은 오직 그때였기에 가능했던 일이었다. 윗 세대의 기준으로 후세대를 재단할 수 없음을 또 한 번 느끼는 것이다.

김류미<‘은근 리얼 버라이어티 강남소녀’ 저자>

2030세상읽기바로가기

이미지
용산의 역경루
오늘을 생각한다
용산의 역경루
공손찬은 중국 후한 말 북방민족들이 이름만 들어도 벌벌 떨 정도로 위세를 떨쳤던 화북의 군벌이다. 오늘날 베이징 근처 유주를 근거지로 세력을 키웠던 공손찬은 백마의종이라는 막강한 기병대를 중심으로 황건적과 만리장성 넘어 이민족들을 토벌하며 군세를 넓혀갔다. 탁월한 군사적 재능을 갖췄으나 성품이 포악했던 공손찬은 폭정을 일삼으며 민심을 크게 잃는다. 왕찬이 기록한 <한말영웅기(漢末英雄記)>에 의하면 공손찬은 자신의 얼굴을 똑바로 쳐다본다는 이유로 부하를 죽이는가 하면 유능한 관료들을 쫓아내고 점쟁이를 측근에 등용하는 등 막장 행각을 벌였다. 하루는 백성들 사이에서 덕망 높았던 관리 유우를 저자에 세워놓고 ‘네가 천자가 될 인물이라면 비가 내릴 것이다’라고 말한 뒤 비가 내리지 않자 그 자리에서 죽여버렸다. 분개한 수만의 유주 백성들은 유우의 아들과 합세해 공손찬을 공격했고, 라이벌 원소와 이민족들까지 연합해 공격하니 공손찬은 고립무원에 처한다. 사방이 포위된 공손찬은 기주 역현에 거대한 요새를 짓고 농성에 들어가니 이 요새가 역경성이다. 자신의 남은 전력을 요새 건설에 쏟아부은 공손찬은 “300만석의 양곡을 다 먹고 나면 천하정세가 달라질 것이다”라고 말하고 외부와 연락을 끊은 채 향락에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