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할 만한 여성 솔로 가수들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여성 솔로 뮤지션이 맥을 못 춘 지 오래다. 음원차트 상위권에 위치하는 여성은 대부분 걸 그룹이다. 최근 소녀시대의 태연과 미쓰에이의 수지가 솔로로서 높은 성적을 기록했지만 이들의 성공에는 그룹 활동으로 쌓은 인지도가 큰 힘이 됐음을 부정하기 어렵다. 여자 가수는 걸 그룹을 해야 뜰 수 있는 세상이 됐다.

웨일 「트레뮬러스스타」 / 에이프로엔터테인먼트

웨일 「트레뮬러스스타」 / 에이프로엔터테인먼트

그렇다고 음원차트 상위권을 활보하는 여성 솔로 가수가 전무한 것은 아니다. 헤이즈가 작년 12월에 낸 ‘저 별’과 에일리가 지난 1월에 발표한 드라마 <도깨비> OST ‘첫눈처럼 너에게 가겠다’는 많은 사랑을 받으며 가볍게 음원차트 상위권에 들었다.

그러나 이들의 약진은 미디어의 공이 막대하다. 헤이즈는 2015년 <언프리티 랩스타>에 출연한 뒤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에일리의 노래는 드라마의 인기 덕에 히트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 노래 이후에 출시한 자신의 노래는 차트에 들지 못했다. 서바이벌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거나 시청률 높은 드라마의 사운드트랙을 불러야 뜰 수 있는 세상이다.

걸 그룹으로 활동하거나 방송의 은혜를 입어야만 차트에 올라서는 것이 가능한 현실이기에 이에 해당하지 않는 가수들에게 더 눈길이 간다. 이들의 노래를 차트 상단에서 발견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 스민 시선이다.

아이디 「믹스비」 / 베이스캠프스튜디오

아이디 「믹스비」 / 베이스캠프스튜디오

그 중 하나가 더블유 앤 웨일로 활동했던 싱어송라이터 웨일이다. 그녀는 그룹이 2008년에 발표한 ‘아르피지 샤인’(R.P.G. Shine)이 통신사 CM송으로 쓰여 널리 이름을 알리게 됐다. 하지만 대중성이 강한 음악을 하는 팀이 아니라서 그 뒤로는 인디음악, 전자음악 애호가들의 성원에 만족해야 했다.

2012년 그룹을 탈퇴한 후 유튜브를 통해 팬들과 만남을 이어 오던 웨일이 지난 3월 데뷔 맥시 싱글 <트레뮬러스 스타>(Tremulous Star)를 선보였다. 웨일은 일렉트로니카 버전과 어쿠스틱 버전을 마련해 친근감을 표하는 동시에 수더분한 온기도 전한다. 사랑에 빠져 감정을 주체할 수 없는 상태를 그린 ‘사이언티스트’(Scientist)는 일반적인 사랑 얘기로 편안하게 다가온다. 동물원의 북극곰을 보고 든 측은한 심정이 모티프가 된 ‘어느 북극곰의 이야기’는 동화적인 서술과 환상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스캣 덕에 특별하게 느껴진다. 트립 합 형식의 ‘트래지디 퀸’(Tragedy Queen)은 맑음과 그윽함이 공존하는 음성이 차분하게 시작해 격양되는 구성을 더욱 그럴 듯하게 만든다. 웨일은 음반을 통해 매력적인 보컬리스트임을 증명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지난 3월 정규 데뷔 앨범 <믹스 비>(Mix B)를 낸 아이디도 주목할 만하다. 작년 7월부터 ‘사인’(Sign), ‘외롭지 않아’ 등의 싱글을 발표해 온 아이디는 요즘 스타일의 R&B를 주메뉴로 택해 젊은 음악팬들의 지지를 이끌어 냈다. 걸 그룹을 할 것 같은 예쁘장한 외모에 마니아 장르를 들려준다는 점도 돋보이는 데에 한몫 했다.

일렉트로 펑크를 근간으로 한 ‘사인’, 신스팝 골격의 ‘타입’(Type), 어두운 톤의 일렉트로팝 ‘베스트 미스테이크’(Best Mistake) 등 앨범의 수록곡은 과거에 인기를 얻었던 스타일과 현재 유행하는 양식을 아우르며 다양성을 내보인다. 아이디의 가느다란 음색은 노래를 요염하게 꾸민다. 성량을 보강한다면 원숙한 느낌도 함께 표현할 수 있을 듯하다. 셔니슬로우, 스컬, 주비트레인, 김효은, 루피 등 개성이 뚜렷한 래퍼의 참여로 앨범은 한층 풍성하게 느껴진다.

<한동윤 대중음악 평론가>

문화내시경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