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키우는 데 정답은 없다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유년기 인류학
헤더 몽고메리 지음·정연우 옮김 연암서가·2만3000원

각종 육아법이 쏟아져 나온다. 아이를 키우는 데 정답이 있을까? 지은이의 대답은 ‘없다’이다. 역사적으로 모든 사회가 같은 태도로 어린이를 대하지 않았다. 인류학자인 지은이는 지난 150년간 인류학자들이 어린이를 연구한 방법, 민족지에 묘사한 어린이의 모습, 인류학 연구에서 어린이가 차지하는 위상을 보여줌으로써 어린이들의 일상생활과 유년기에 대한 사회적 믿음이 얼마나 다양하게 존재했는지를 알려주고 있다.

[신간 탐색]아이 키우는 데 정답은 없다

보편적인 육아법이 없었듯이 보편적으로 ‘어린이’를 정의할 수도 없다. 물론 국제법은 유년기를 0세에서 18세 사이로 정의하고 있다. 신체적 특징에 따른 정의다. 그러나 수정, 출생, 첫 월경 등과 같은 명확한 신체적 표징만으로 유년기를 정의할 수 있을까.

이 책의 지은이는 나이나 신체적 표징보다는 그 표징에 부여된 문화적 상징에 주목한다. 문화적 상징은 사회마다 다르다. 어떤 사회는 태어나기 전부터 어린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어떤 사회는 성인식을 치르고 결혼을 해도 어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각 사회마다 어린이에 대한 정의가 다르다는 것은 각 사회마다 육아에 대한 접근이 달랐다는 것을 뜻한다. 이런 인식은 특정 육아법만 옳고 다른 육아법은 무지몽매하다는 편견에서 벗어나게 해준다. 잘 모르는 문화권의 육아법이 이상하거나 위험해 보여도 그들의 문화적 맥락에서 어린이가 어떤 존재인지 이해해 보고, 그들이 무슨 이유에서 그런 육아 방식을 취했는지를 알아본다면 다른 부모들을 향해 쉽게 가치판단을 내리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모든 육아 방식을 용납하자는 것은 아니다. 한 사회가 어린이를 다루는 방식에 대해 폭넓은 질문을 던짐으로써 용납할 수 있는 육아 방식과 부당한 학대를 가를 수 있다는 것이다.

인류학적으로 어린이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다루면서 지은이는 이분법적 논리로 어린이를 바라봐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어린이는 그 자체로 완전한 존재인가? 아니면 완전해지는 과정에 있는 존재인가? 어린이는 수동적인가? 아니면 능동적인가? 어느 쪽으로도 단정지어 말할 수는 없다. 어른이건 어린이건 모두 다 사회적 관계망 안에서 사는 존재인 만큼 어느 하나만 따로 떼어놓고 대상화해 이해할 수는 없다는 것이 지은이의 결론이다.

<박송이 기자 psy@kyunghyang.com>

신간 탐색바로가기

이미지
탄핵 이후 준비해야 할 것들
오늘을 생각한다
탄핵 이후 준비해야 할 것들
밤새 뒤척인다. 겨우내 마음 편히 잠을 자지 못해 머리에 스모그가 낀 듯 무겁다. 창밖을 보니 눈이 내린다. 이상기온이 일상이 돼간다. 기후변화의 징후인 3월 중순 눈 쌓인 풍경은 더 이상 아름답지 않고 불길하다. 자연 시스템의 불안정성만큼이나 정치와 사법 시스템 또한 아슬아슬하다.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둘러싼 사회적 긴장은 한국 민주주의가 직면한 불안정성을 드러낸다. 일만 년간 이어온 기후 안정성과 40여 년이 채 안 된 한국의 민주주의는 기간으로는 비할 데 아니지만, 우리 삶에 당연히 주어지는 조건으로 여겨졌던 점은 흡사하다. 이번 겨울 기후환경이든 정치체제든, 우리가 당연하게 여겨온 것들이 얼마나 쉽게 흔들릴 수 있는지 여실히 드러났다. 기후위기와 정치위기라는 무관해 보이는 두 위기는 사실 그 원인 면에서도 맞닿아 있는데, 효율과 성과가 최우선시되는 과정에서 다른 중요한 가치는 간과했다는 점이다. 한국사회는 산업화하는 과정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법을 배웠지만, 화석 연료 중심의 에너지 구조를 전환하는 데 게을렀고, 정치적 다양성과 세대 간의 이해를 구현하지 못했다. 우리는 경쟁을 통해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지만, 이제는 그러한 방식의 성장이 우리 사회를 갉아먹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