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독신자녀의 병든 부모 수발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신간 탐색]일본 독신자녀의 병든 부모 수발

나 홀로 부모를 떠안다
야마무라 모토키 지음·이소담 옮김 코난북스·1만5000원

일본에서는 간병과 수발을 포함해 돌보는 일을 ‘개호’라고 한다. 일본에서는 개호와 연관된 사회문제를 지칭하는 신조어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다. ‘노노 개호’는 노인이 된 자녀가 부모를 돌보거나 노인끼리 서로를 돌보는 것을 뜻한다. ‘인인 개호’는 치매 노인을 돌보다 함께 인지장애를 겪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개호 자살·살인’은 개호에 지쳐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돌보는 이를 살해하는 것을 뜻한다. 여기에 더해지는 게 ‘개호 독신’이다. 개호 독신은 독신 자녀가 홀로 병든 부모를 돌보는 것을 의미한다. <나 홀로 부모를 떠안다>는 이미 일본 사회에 만연한 이 문제가 개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또 이런 사례가 늘어나면서 일본 사회에 어떤 굴레로 작용하는지를 짚은 책이다.

지은이는 개호 독신자들이 떠안은 가장 큰 문제로 고립감을 꼽는다. 일을 하지 않는 개호 독신자들은 고생은 고생대로 하면서 부모한테 기생한다는 눈총을 받는다. 고령자를 돌보는 일에는 원하든 원하지 않든 죽음이 기다리고 있기에 이들의 고립감은 한층 커진다.

일과 개호를 병행하는 경우도 힘들기는 마찬가지다. 예상치 못한 일이 벌어지면서 일을 멈추고 달려가야 하는 상황이 생기는 것은 물론이고, 일을 마치고 돌아가도 개호라는 또 다른 일이 기다리기에 스트레스는 극대화된다. 이를 견디지 못해 일을 그만두게 되면 이후 다시 일터로 돌아가기란 쉽지 않다.

이 책은 개호자들을 인터뷰하면서 현재 일본 사회 ‘개호 복지’의 흐름을 짚는다. 일본에서는 현재 개호를 병원이나 시설이 아니라 개인에게 부담 지우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복지제도가 미비한 상황에서 개호와 관련한 개인들의 문제는 더욱 크게 불거질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화사회와 비혼사회가 만나 만들어진 비극이 개호 사회다. 일본 사회의 비극은 사회안전망과 복지제도 구축이 미비한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박송이 기자 psy@kyunghyang.com>

신간 탐색바로가기

이미지
탄핵 이후 준비해야 할 것들
오늘을 생각한다
탄핵 이후 준비해야 할 것들
밤새 뒤척인다. 겨우내 마음 편히 잠을 자지 못해 머리에 스모그가 낀 듯 무겁다. 창밖을 보니 눈이 내린다. 이상기온이 일상이 돼간다. 기후변화의 징후인 3월 중순 눈 쌓인 풍경은 더 이상 아름답지 않고 불길하다. 자연 시스템의 불안정성만큼이나 정치와 사법 시스템 또한 아슬아슬하다.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둘러싼 사회적 긴장은 한국 민주주의가 직면한 불안정성을 드러낸다. 일만 년간 이어온 기후 안정성과 40여 년이 채 안 된 한국의 민주주의는 기간으로는 비할 데 아니지만, 우리 삶에 당연히 주어지는 조건으로 여겨졌던 점은 흡사하다. 이번 겨울 기후환경이든 정치체제든, 우리가 당연하게 여겨온 것들이 얼마나 쉽게 흔들릴 수 있는지 여실히 드러났다. 기후위기와 정치위기라는 무관해 보이는 두 위기는 사실 그 원인 면에서도 맞닿아 있는데, 효율과 성과가 최우선시되는 과정에서 다른 중요한 가치는 간과했다는 점이다. 한국사회는 산업화하는 과정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법을 배웠지만, 화석 연료 중심의 에너지 구조를 전환하는 데 게을렀고, 정치적 다양성과 세대 간의 이해를 구현하지 못했다. 우리는 경쟁을 통해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지만, 이제는 그러한 방식의 성장이 우리 사회를 갉아먹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