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혼자였던 시간, 혼자가 아닌 시간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더없이 외로운 동시에 너무나도 간절히 혼자이고 싶습니다. 한때는 독방에 들어가는 것이 꿈이었지만 정치·경제적 거물이거나 사형수가 아닌 한 불가능하다는 걸 깨닫고 포기했습니다. 빈틈없는 감시체계가 작동하는 감옥세계는 보통의 죄수들을 단 한순간도 홀로 두지 않습니다. 한두 평이라도 더 넓은 방에서 함께 일하는 죄수 무리와 별 탈 없이 잘 지내기를 바랄 수밖에요. 시도 때도 없이 찾아오는 혐오와 차별의 시선, 주로 여성과 가난을 비난하고 조롱하는 죄수들의 말이 제 마음에 불길처럼 번지지 않도록 잔뜩 웅크립니다. 다행히 이곳에서 버틴 시간만큼 주어진 권력에 힘입어 다소 유별나게 굴어도 다른 죄수들이 크게 나무라지는 못합니다.

Photo by Tim Hufner on Unsplash

Photo by Tim Hufner on Unsplash

어려서부터 혼자인 시간이 많았습니다. 맞벌이부부의 외동아들로 태어나 홀로 집 지키는 법을 일찍 터득했습니다. 저학년일 때부터 학교를 마치면 곧장 집으로 돌아와 간섭 없는 자유를 누린 기억만 있습니다. 자유를 만끽했다 여겼던 그 시간이 실은 외로움과 직면하기 싫어 몸부림치던 날들이었음을 지나고 나서야 깨달았습니다. 재수를 피하고 싶은 마음에 대학 진학 가능성이 낮은 아이들과 어울리지 않으려 입과 귀를 닫은 채 지내기도 했습니다. 끝없이 이어지는 감방에서의 성찰이 현재와 닮은 과거의 부끄러운 기억을 끄집어냅니다.

목표했던 대학에 입학한 후에도 혼자 있는 시간을 좀처럼 벗어날 수 없었습니다. 또래 모두가 각자의 방에 갇혀 정해진 이정표를 따라 착실히 나아가는 걸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누군가를 밟고 밀어내 더 높은 곳으로 올라가도록 부추기는 경쟁 구조에 진절머리가 났습니다. 공감받지 못할 고뇌에 허우적거리던 겨울, 용산 참사가 터졌습니다.

현실성 없는 장면보다 더 충격적이었던 건 끝내 밀려난 사람들을 향한 비난이었습니다. 사람이 죽었는데, 어떻게 그리 쉽게 판단하고 말이란 걸 내뱉을 수 있는지…. 당시 속한 비좁은 세계에서 그나마 믿을 만한 이를 붙잡고 토로했습니다. 죽음을 향한 삿대질을 인정할 수 없다고, 종일 마음이 출렁거린다고. 무정하게 돌아온 답은 지금까지 가슴에 남아 있습니다. “게임의 규칙에 승복하지 않은 사람이 잘못했다”는 그 말, 아직도 섬뜩합니다. 너무나 평범해 차마 괴물이라 부를 수도 없던 이들 틈에서 혼자이고 싶지 않아 먼 곳으로 도망쳤습니다. 20대의 대부분을 허비했지만, 사회에서 밀려나는 존재들을 옹호하는 활동가들로부터 ‘동료’라 불리기 시작했을 때 비로소 방황이 끝났습니다. 병역거부를 선언한 이후 이어진 모든 과정, 심지어 감옥에 갇힌 지금까지도 마음을 내준 동료들로 인해 더 이상 홀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혼자일 수 없는 감방에서 혼자가 되어, 혼자가 아니란 사실에 안도하며, 곧 동료들 곁으로 돌아가리란 희망으로 또 하루를 버팁니다.

<홍정훈 한국도시연구소 연구원>

‘감옥’에서 온 편지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