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림동에서 목격된 UFO 소동? 확인해 보니…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가끔 사람들이 혼동하는 것이 UFO(미확인 비행물체)의 정의다. UFO라고 해서 ‘외계로부터 날아온 비행접시’가 아니다. 그저 저 하늘을 나는 물체인데, 뭔지 확인되지 않았을 뿐.

딴지일보 자유게시판

딴지일보 자유게시판

그런 의미에서 지난 5월 13일 오전 서울 신림동 일대 하늘에서 목격된 건 일단 잠재적으로 UFO로 분류할 수 있긴 하다. 목격자들이 인터넷커뮤니티 등에 올린 글과 사진에 따르면 이날 오전 이 ‘확인되지 않은 물체’가 약 한 시간 반가량 관악산 부근에 떠 있었다고 한다. 복수의 목격자가 각각 사진을 찍어 공개했다. 저 물체는 과연 뭘까. ‘UFO 소동, 알고 보니 비닐봉지 바람에 날려가’ 한 누리꾼이 제시한 기사 제목이다. ‘비닐봉지나 빨랫감이 바람에 날린 것 아닐까’, ‘기상관측기구처럼 보인다’는 등 여러 추측이 난무한다.

기상청에 사진을 건네고 물어봤다. “글쎄요. 우리가 띄운 관측기구는 아닌 것이 확실합니다.” 윤대한 기상청 대변인의 말이다. 그의 말에 따르면 기상청에서 습도 등을 측정하기 위해 기구(고증관측기구라고 한다)를 띄우기도 하는데, 5월 13일 당일 목격지점 근처에서는 띄운 적이 없다는 것이다. 기상청으로부터 고증관측기구 사진을 건네받아 보니 흡사하긴 했다. 재차 확인과정에서도 윤 대변인은 “절대 기상청 기구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백령도에서 기구를 띄웠는데, 이 기구에는 GPS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 기구가 오전 10시쯤 서해상으로 낙하한 것이 확인됐습니다.”

사실 이런 촬영물의 감정전문가는 따로 있다. 한국UFO조사분석센터의 서종한 소장이다. 사진을 보내고 30분쯤 지나자 답이 돌아왔다. “UFO 아닙니다. 기구로 보입니다.” 맹성렬 우석대 교수의 의견도 비슷하다. 관련 전문가들과 이야기를 나눠보면 의외로 ‘진짜 UFO’ 확정엔 상당히 회의적 시각을 보이는 편이다.

아무튼 위의 사진이 게시된 인터넷커뮤니티에 한 누리꾼이 이런 ‘정보’를 추가로 남겼다. “어제 낙성대 공원에서 띄운 기구인데 정확한 용도는 모르겠습니다. 누가 경찰에 신고해서 경찰까지 와서 내용 확인하던데, 기구 띄운 사람 이야기로는 서울시에서 하는 시범사업이라는 이야기를 옆에서 들었네요.” 상당히 구체적 증언이다. 서 소장 판단대로 UFO가 아니라 기구로 확정될 가능성이 높다.

<정용인 기자 inqbus@kyunghyang.com>

언더그라운드 넷바로가기

이미지
탄핵 이후 준비해야 할 것들
오늘을 생각한다
탄핵 이후 준비해야 할 것들
밤새 뒤척인다. 겨우내 마음 편히 잠을 자지 못해 머리에 스모그가 낀 듯 무겁다. 창밖을 보니 눈이 내린다. 이상기온이 일상이 돼간다. 기후변화의 징후인 3월 중순 눈 쌓인 풍경은 더 이상 아름답지 않고 불길하다. 자연 시스템의 불안정성만큼이나 정치와 사법 시스템 또한 아슬아슬하다.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둘러싼 사회적 긴장은 한국 민주주의가 직면한 불안정성을 드러낸다. 일만 년간 이어온 기후 안정성과 40여 년이 채 안 된 한국의 민주주의는 기간으로는 비할 데 아니지만, 우리 삶에 당연히 주어지는 조건으로 여겨졌던 점은 흡사하다. 이번 겨울 기후환경이든 정치체제든, 우리가 당연하게 여겨온 것들이 얼마나 쉽게 흔들릴 수 있는지 여실히 드러났다. 기후위기와 정치위기라는 무관해 보이는 두 위기는 사실 그 원인 면에서도 맞닿아 있는데, 효율과 성과가 최우선시되는 과정에서 다른 중요한 가치는 간과했다는 점이다. 한국사회는 산업화하는 과정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법을 배웠지만, 화석 연료 중심의 에너지 구조를 전환하는 데 게을렀고, 정치적 다양성과 세대 간의 이해를 구현하지 못했다. 우리는 경쟁을 통해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지만, 이제는 그러한 방식의 성장이 우리 사회를 갉아먹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