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텅 빈 대마도’ 보도는 선동? 윤서인씨 주장은 사실일까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지난 8월 초순 기자는 ‘kouhei2708’이라는 트위터 아이디를 쓰는 대마도 현지인의 트위터 글을 기사에서 인용했다. ‘한국 사람들이 하나도 없으니 대마도에 와주세요’라고 적은 관광 호소 글이다. 호소 대상은 앞서 기사에서 언급한 것처럼 일본 사람들이다. 그 후 어떻게 되었을까. 지난 8월 28일, 다른 일본인이 이 현지인에게 멘션을 걸어 올린 글이다. ‘한국인이 격감하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대마도에 가고 싶지만 금방은 무리이므로 우선 대마도산을 사서 응원하고 싶습니다.’ 글 타래를 보면 대마도를 돕기 위한 ‘아이디어’가 쏟아진다. 한국 대신 대마도로 수학여행을 가게 하자든가, 대마도 인근까지 항공이나 선박 요금에 국가보조금을 지급해 여행을 쉽게 하자는 것이다. 하지만 9월 5일 현재 그의 호소에 호응해 대마도 여행을 갔다는 ‘인증샷’은 적어도 이 트위터 사용자의 타임라인에는 올라오지 않고 있다. 말하자면 ‘넷 상의 말잔치’다.

윤서인유튜브 캡처

윤서인유튜브 캡처

“<경향신문>은 한국인을 조롱하는 사람의 글을 퍼다 놓고 ‘호소’라고 하면서 정신 승리하고 있다.” 지난 8월 25일 우익성향 만화가 윤서인씨가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기자의 기사를 두고 내놓은 주장이다. 그는 비슷한 시점에 대마도의 텅 빈 거리를 다룬 한국 방송 보도 역시 때마침 ‘오봉(한국 추석과 비슷한 일본 명절)’ 기간이라 문을 닫은 것을 두고 “한국 관광객이 없어 문을 닫은 것처럼 선동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윤씨 주장은 사실일까.

앞서 인용한 이 대마도 현지인이 혐한 성향을 갖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여름휴가는 대마도로 가볼까’라고 쓴 다른 사용자에 대한 답글에서 “연락주세요! 전부터 ‘K국’은 사절하고 있습니다. 숙박업소를 안내하겠습니다. 제철 음식을 싸게 먹을 수 있어요”라고 답하고 있다. 여기서 K국은 KOREA, 한국을 가리킨다. 일본 다른 지역민들을 향한 관광 호소, 맞다.

“이즈하라항 쪽으로 가던 배는 전부 임시휴업에 들어갔습니다. 현재는 차로 2시간 거리 떨어진 히타카즈 배편만 있습니다.” 쓰시마 부산사무소 관계자의 설명이다. 그는 이렇게 덧붙였다. “관광객 급감으로 지역경제 전체가 타격을 받아 힘듭니다. 일본 지역방송에서도 다뤘던 주제입니다.” 9월 4일 통화에서 윤서인씨는 “취재에 응하고 싶지 않다”며 전화를 끊었다.

<정용인 기자 inqbus@kyunghyang.com>

언더그라운드 넷바로가기

이미지
탄핵 이후 준비해야 할 것들
오늘을 생각한다
탄핵 이후 준비해야 할 것들
밤새 뒤척인다. 겨우내 마음 편히 잠을 자지 못해 머리에 스모그가 낀 듯 무겁다. 창밖을 보니 눈이 내린다. 이상기온이 일상이 돼간다. 기후변화의 징후인 3월 중순 눈 쌓인 풍경은 더 이상 아름답지 않고 불길하다. 자연 시스템의 불안정성만큼이나 정치와 사법 시스템 또한 아슬아슬하다.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둘러싼 사회적 긴장은 한국 민주주의가 직면한 불안정성을 드러낸다. 일만 년간 이어온 기후 안정성과 40여 년이 채 안 된 한국의 민주주의는 기간으로는 비할 데 아니지만, 우리 삶에 당연히 주어지는 조건으로 여겨졌던 점은 흡사하다. 이번 겨울 기후환경이든 정치체제든, 우리가 당연하게 여겨온 것들이 얼마나 쉽게 흔들릴 수 있는지 여실히 드러났다. 기후위기와 정치위기라는 무관해 보이는 두 위기는 사실 그 원인 면에서도 맞닿아 있는데, 효율과 성과가 최우선시되는 과정에서 다른 중요한 가치는 간과했다는 점이다. 한국사회는 산업화하는 과정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법을 배웠지만, 화석 연료 중심의 에너지 구조를 전환하는 데 게을렀고, 정치적 다양성과 세대 간의 이해를 구현하지 못했다. 우리는 경쟁을 통해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지만, 이제는 그러한 방식의 성장이 우리 사회를 갉아먹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