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4.14 ~ 20
2025.04.18 (금)
자주쓰는 링크
로그인
회원가입
표지이야기
특집&이슈
정치
경제
사회
문화&과학
세계
스포츠
오피니언
연재
검색
세계
주간경향 >
세계
“11억원에 미 명문대 입학 컨설팅”···미국판 ‘스카이캐슬’
크리스토퍼 림. 커맨드 에듀케이션 홈페이지 캡쳐 억대의 비용을 내면 미국 명문대에 입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입시 컨설팅 서비스가 화제가 되고 있다고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가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텔레그래프는 미국에서 ‘커맨드 에듀케이션’을 설립한 크리스토퍼 림과 인터뷰를 통해 명문대 입학을 위한 컨설팅 실태를 상세히 소개했다. ···
[ 2025.03.31 ]
광물에 진심인 트럼프, 현실판 ‘부루마블’ 성공할까
우크라이나·캐나다·그린란드 찔러대기…‘핵심 광물’과 ‘중국 견제’가 키워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지구의 합성사진 / 경향신문 자료사진 우크라이나, 캐나다, 그린란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후 두 달 새 보드게임 ‘부루마블’이 떠오를 정도로 이 나라들을 위협하고 찔러댔다. “사겠다”, “편입해라”, “되찾겠다” 등 노골적 언사로···
[ 1622호
ㅣ
2025.04.07 ]
미 복지부 “1만명 해고”···법무부도 마약 단속 부서 등 통합 추진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워싱턴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국제개발처(USAID)를 해체하는 등 연방정부 지출 감축을 목표로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벌이는 가운데 보건복지부도 1만명의 직원을 해고하기로 했다.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복지부 장관은 27일(현지시간) 비효율적이고 무분별한 관료주의를 비판한 뒤 “우리는 더 적···
[ 2025.03.28 ]
“교육부 해체”···트럼프 행정명령 서명
연방 교육부 해체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트럼프 대통령. 워싱턴 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연방 교육부를 해체하는 절차에 착수할 것을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진행한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내 행정부는 교육부를 폐쇄하기 위한 모든 합법적인 조처를 할 것”이라며 “우리는···
[ 2025.03.21 ]
가깝고도 먼 아세안
(48) 딸은 탄핵, 아버지는 체포…저무는 필리핀 두테르테 가문
지난 3월 14일 네덜란드 헤이그에 있는 국제형사재판소(ICC) 법정의 화면에 모습을 드러낸 로드리고 두테르테 전 필리핀 대통령 / AP연합뉴스 ‘탄핵안 가결’, ‘군 쿠데타 종용’, ‘정적 살해 협박’, ‘종교단체의 대통령선거 개입’, ‘특수 활동비 불법 유용’, ‘검사 출신 전직 대통령 망명 시도 의혹’. 필리핀에서 벌어진 일이다···
[ 1621호
ㅣ
2025.03.31 ]
구정은의 수상한 GPS
(1) 트럼프의 ‘납치 특사’와 가자지구 ‘리비에라 플랜’
가자지구 북부 자발리아의 주민들이 3월 18일 밤사이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파괴된 건물 잔해 사이를 걷고 있다. / AFP연합뉴스 미국이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에 이어 이스라엘과 하마스 전쟁을 중단시키기 위한 중재에 나섰다. 팔레스타인 땅인 가자지구에서 주민들을 내보내고 ‘리비에라(해안 휴양지)’로 만들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1621호
ㅣ
2025.03.31 ]
손호철의 미국사 뒤집어보기
(6) 다양성과 관용의 도시 샌프란시스코
‘미국 동성애자의 도시’답게 샌프란시스코에는 이들을 위한 LBGT센터가 여러개 있다. 손호철 제공 “샌프란시스코에 가면 꼭 머리에 꽃을 꽂으세요.” 북캘리포니아를 대표하는 항구도시 샌프란시스코로 들어가는 골든게이트 다리를 건너며 나는 ‘샌프란시스코’를 흥얼거렸다. 1967년 발표된 이 노래는 샌프란시스코만이 아니라 그 시대의 특징인 ···
[ 1621호
ㅣ
2025.03.31 ]
영화 한 편에 146억 받는 배우 밀리 브라운 “여전히 마트서 쇼핑”
미국 배우 밀리 보비 브라운. UPI=연합뉴스 넷플릭스 드라마 시리즈 ‘기묘한 이야기’ 등으로 인기를 끈 배우 밀리 보비 브라운(21)이 여전히 검소한 자신의 소비 습관에 대해 밝혔다. 미국 경제매체 CNBC 등에 따르면 브라운은 최근 한 팟캐스트 방송에 출연해 ‘기묘한 이야기’에 주인공으로 캐스팅되기 전까지 “돈 없이 자랐다”며 이런···
[ 2025.03.20 ]
가자지구 휴전 두달 만에 파국···이스라엘 “전투 복귀”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18일(현지시간) 새벽 이뤄진 이스라엘군의 공습 후 피란길에 올랐다. 베이트하눈 AFP=연합뉴스 이스라엘의 전격적인 가자지구 공습으로 가자지구가 다시 포화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지난 1월 발표된 이스라엘과 하마스간 휴전은 2개월 만에 파국을 맞게 됐다. 18일(현지시간) 타임스오브이스라엘, 와이넷 등 현···
[ 2025.03.19 ]
미국 에너지부 “원자로 설계 SW 한국으로 유출시도 적발”
17일(현지시간) 미국 에너지부 감사관실이 미국 의회에 제출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아이다호 국립연구소(INL)의 도급업체 직원이 수출통제 대상에 해당하는 정보를 소지한 채 한국으로 향하는 항공기에 탑승하려고 했다가 적발돼 해고된 사건이 발생했다. 사진은 미국 에너지부 감사관실 보고서. 에너지부 감사관실 제공·연합뉴스 미국 에너지부가 한···
[ 2025.03.18 ]
“대통령이 아닌 왕 같다”···트럼프, 백악관 곳곳에 황금장식
백악관 집무실의 트럼프 대통령. UPI=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후 백악관을 자신의 스타일을 반영해 화려하게 꾸미고 있다. 집무실 곳곳이 화려한 황금장식과 금박 소품들로 채워졌고, 벽에는 빽빽하게 대형 초상화들이 내걸렸다. 16일(현지시간) 미국 CNN 방송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8주간 백악관의 대통령 집···
[ 2025.03.17 ]
일본 ‘레이와 쌀 소동’ 초유의 사태
지난해 여름부터 쌀 부족 현상…값 크게 오르자 정부 비축미 풀기로
지난해 9월 7일 일본 오카야마현 가미모미 마을에서 농부들과 자원봉사자들이 수확한 벼를 햇볕에 말리고 있다. AP연합뉴스 일본에서 쌀이 똑 떨어졌다. 생산량은 늘었으나 시장에 나온 쌀이 줄어드는 미스터리한 일이 벌어졌다. 쌀값은 1년 만에 70% 넘게 치솟았다. 쌀 수출 대···
[ 1620호
ㅣ
2025.03.24 ]
‘머스크 구하기’ 나선 트럼프, 테슬라 시승하며 머스크 치켜세워
11일 테슬라 차 운전석에 앉아 미소짓는 트럼프 대통령. 워싱턴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직접 테슬라 차를 시승하고 구매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지지의 뜻을 표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일론 머스크는 우리나라를 돕기 위해 ···
[ 2025.03.12 ]
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이번호 기사 베스트
지난호 기사 베스트
1
지브리 ‘스타일’에 취한 당신에게 들려주고픈 이야기
2
링거 맞고 코피 쏟고, 광장의 최전선에 그들이 있었다
3
“호미 하나 안 남았는데 사과 농사는 무슨···”
4
세월호의 진실을 덮는 자는 과연 누구인가
5
윤석열 파면으로 본 ‘대통령의 자격’
6
(45) “모든 善은 여유에서 나온다”
7
‘퇴물’ 컴퓨터는 얼마나 늙은 걸까
8
트럼프 이념·문화 전쟁, 미국 내 갈등
1
“70만달러짜리 계약 끊겼다”···관세 폭풍에 휘청이는 중소업체들
2
‘500만달러’ 영주권 장사…유학길도 좁아진다
3
‘미장’ 투자자, 트럼프 한마디에 날마다 ‘오징어 게임’
4
(49) 사법 쿠데타, 부정선거론…형제국가 터키와 한국의 닮은꼴
5
“4년만 버티면 된다? 보호무역주의는 이미 뉴노멀”
6
한국의 세계화 희생자들에게 트럼프가 보낸 통지서
7
(29) ‘하늘의 테슬라’ F-35가 가장 두려워하는 건 뭘까
8
(1) 한강 <채식주의자>의 여성주의적 의미-폭력적 문명 질서에 맞서는 한국의 안티고네
시사 2판4판
권한대행의 불장난…
주간 舌전
나바로는 벽돌 자루보다 더 멍청
오늘을 생각한다
지연된 정의는 정의가 아니다
2018년의 스쿨미투, 2025년 4월의 승소 판결. 지연된 정의는 정의가 아님을 뼈저리게 느끼는 뒤늦은 승소의 비애. 2018년 중·고등학생이었던 스쿨미투의 당사자들은 이제 만 20~25세의 성인이 됐으나 무려 8년이 지나는 동안 스쿨미투의 성과가 무엇인지 알 수 없었다. 아무도 그들에게 스쿨미투로 공론화된 학교 성폭력 사안의 처리 결과를 알려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마치 그들이 성인이 되기만을 기다려 온 것처럼, 그들의 기억에서 스쿨미투가 잊히길 바란 것처럼, 학교와 교육청은 8년 동안 모두의 알권리를 빼앗았다. ‘정치하는엄마들’은 2019년부터 스쿨미투 사안의 처리 현황을 정보공개 청구했고, 교육청의 비공개 처분에 대해 행정소송을 진행해왔다. 지난 4월 2일 전 국민의 이목이 대통령 탄핵 심판에 집중됐을 때, 충북교육청을 상대로 제기한 항소심에서 1심 판결을 뒤집고 승소했다. 그러나 2018년 스쿨미투를 외쳤던 충북 지역 학생들에게, 지금은 어른이 된 그들에게 이 사실을 전할 길이 없다. 정의를 지연시킴으로써 정의가 아니게 만든 충북교육청의 전략은 탁월했다. 충북교육청은 학생과 피해자 편이 아니었다.